이자보상배율, 영업익을 이자 비용으로 나눈 값
지난해 상장기업 5곳 가운데 1곳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내는 한계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3년 연속 한계기업인 기업은 2년 사이 2배 늘었다.
9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2015∼2019년 매출액 데이터가 모두 있는 상장기업 685곳 중 지난해 20.9%(143곳)가 이자보상배율이 1보다 작은 한계기업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이자 비용으로 나눈 값으로, 1보다 작으면 영업이익이 이자 비용보다 작다는 뜻이다.

한경연에 따르면 한계기업 수는 2016년 94개에서 꾸준히 증가했으며 3년 연속으로 한계기업인 곳은 2017년 28개에서 작년 57개로 2배 늘어났다. 한계기업 증가 원인은 매출은 정체 상태인데 영업이익이 크게 감소해 기업들의 수익성이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작년 상장기업 매출은 1152조8000억 원으로 전년(1190조3000억 원)보다 3.2%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55조5000억 원으로 전년(111조3000억 원)보다 50.1% 줄었다.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은 2018년 9.4%에서 지난해 4.8%로 절반가량 감소했다.
상장기업 685곳의 현금성 자산은 지난해 131조7000억 원으로 전년보다 7.3% 줄었다.
상장사 절반이 넘는 51.8%(355곳)의 현금성 자산이 줄면서 전체 상장기업 현금성 자산이 2년 연속 감소했고, 감소 폭도 전년(-3.2%)보다 늘어났다.
기업의 자산 대비 현금보유 비중인 현금자산 비율도 2016년 9.3%에서 계속 줄어 지난해 7.6%를 기록했다.
기업들의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지난해 102조6000억 원으로 전년보다 25.5% 줄어 최근 5년 중 가장 적었다.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줄어든 313개 기업 중 적자를 기록한 기업은 133개로 전체 상장사 가운데 19.4%를 차지했다.
현금흐름 부족에 따라 기업들이 투자금을 외부조달에 의존하면서 갚아야 할 순차입금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차입금 중 현금성 자산을 제외한 순차입금은 236조9000억 원으로 전년보다 38.4% 증가했다.
상장기업이 보유한 평균 재고자산은 지난해 99조9000억 원이었고, 재고가 매출로 반영되는 속도인 재고자산회전율은 11.5회로 2017년 14.3회 이후 2년 연속 줄었다. 재고자산이 매출로 이어지는 평균일수는 31.7일로 2017년 25.5일에서 2년 만에 1주일 가까이 늘었다.
UPI뉴스 / 이민재 기자 lmj@upinews.kr
[저작권자ⓒ UPI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